
밤에는 잠이 오지 않고, 아침에는 알람을 들어도 쉽게 일어나기가 힘들다면 조명 설정을 바꾸는 것으로도 수면과 기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적절한 조명의 활용은 실제로 우리의 불규칙해진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조명의 수면 조절 효과 사람의 망막에는 빛을 받아들이는 광과민성 신경절 세포(Intringically Photosensitive Retinal Ganglion Cells, ipRGCs)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세포를 통해 우리는 빨강, 초록, 파란색을 인식할 수 있는 색감세포인 원뿔세포(Cone Cells, 원추세포)로 시각정보가 전달되게 됩니다. 또한 이 원뿔세포에서는 색상 인지를 통해 뇌에 수면을 유도하거나 각성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면치료 연구에서도 조명을 통..

휴일 다음날이면 항상 찾아오는 월요일에는 항상 수면부족과 불쾌한 느낌을 느끼고 있지 않나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의 생활 습관과 인공조명의 노출이 월요병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월요병의 원인 월요병의 원인에는 크게 3가지로 사회적 시차증, 일주기 리듬의 변화, 인공조명의 노출을 들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주변의 사소한 습관으로도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요인들이 우리 수면에 어떠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사회적 시차증(social Jet Lag)이란? 우리가 해외여행 시 출발지와 도착지의 시간적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시차가 발생하게 되고 시차 적응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와 비슷하게 평일의 고정적인 생활 습관과 주말 동안의 불규칙한 수면..

멜라토닌은 우리의 생체 리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혈중 멜라토닌 농도가 증가되면서 숙면을 유도하게 만들어줍니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는 다양한 천연 식품 섭취로도 멜라토닌을 보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멜라토닌 합성에 도움을 주는 식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멜라토닌 합성 과정 멜라토닌의 합성은 망막에 빛이 차단된 조건일 때 시교차상핵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을 통해 트립토판을 목 부근에 위치한 상경부 신경절(Superior Cervical Ganglion)로 전달하게 됩니다. 상경부 신경절은 체온 조절과 동공 확장과 수축 등을 조절하며, 이 신경절의 신경 섬유들이 송과체(Pineal Gl..

모든 사람들은 하루의 피로를 풀기 위해서는 잠을 자는 게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잠의 수면 주기는 평균적으로 정해져 있으며 이 주기를 바탕으로 수면과 숙면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숙면을 위해 우리는 수면 주기의 어느 단계에 집중해야 하는가 알아보겠습니다. 수면의 정의 수면은 모든 생명체에 있어 물리적, 정신적 활동의 피로를 풀기위해 발생되는 일시적인 무의식 상태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수면은 우리가 누워서 눈을 감고 잠을 자는 모든 과정을 뜻하며 이 과정 동안에는 우리의 뇌와 근육 및 심장 등의 생리활동 부분이 전체적으로 느려지고 이완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평균적으로 성인 기준으로 7~9시간 수면하면 충분한 잠을 잤다고 표현하게 됩니다. 하지만 수면 시간이 충분해도 수면주기의 흐름이..

피로함을 풀기 위한 숙면이 아침에 되어도 개운하지 않고 자주 깬다면 수면 패턴에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나의 수면 패턴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평소에도 이 방법을 자주 적용한다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겁니다. 수면 패턴 자가 진단하기 1. 수면 일지 작성하기 어릴 적 쓰던 일기장처럼 하루의 일과를 기록해 보는 방법입니다. 수면의 상태와 효율이 깨지는 원인들은 대게 하루 일과의 어떠 사건과 심리적인 문제가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자세히 기록해 보는 게 좋습니다. ▷수면 시작과 종료 수면이 중간에 깨지는 경우 그 이유도 작성합니다. 예시> pm 12:00~am 5:00 , 화장실 1번, 갈증 나서 일어났다 등. ▷그날의 기분, 심리 상태 심리..